2025년에는 전국민에게 지급되는 민생지원금의 일환으로, 인구감소지역 주민들에게는 추가로 2만 원이 지급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인구감소지역이 어디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인구감소지역의 지정 기준과 해당 지역 목록을 소개합니다.
인구감소지역 지정 개요
인구감소지역 정의
인구감소지역은 단순히 인구가 줄어들었다고 해서 자동으로 지정되는 것이 아닙니다. 이 지역은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결정되며, 행정안전부의 협의를 통해 최종 지정됩니다.
지정 과정
- 인구감소지역 지정안 마련: 행정안전부에서 초안을 작성합니다.
- 관계기관 협의: 중앙행정기관과 시도지사 등의 의견을 수렴합니다.
- 지방시대위원회 심의: 제안된 사항을 심의하여 최종 결정합니다.
- 고시: 행안부 장관에 의해 공식적으로 고시됩니다.
2025년 인구감소지역 확인
인구감소지역 목록
2025년 현재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총 89개 시군구 지역입니다. 주요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역 | 수 |
---|---|
부산 | 3 |
대구 | 3 |
인천 | 2 |
경기 | 2 |
강원 | 12 |
충북 | 6 |
충남 | 15 |
전북 | 10 |
전남 | 16 |
경북 | 15 |
경남 | 11 |
각 지역별 인구감소지역
- 부산: 동구, 서구, 영도구
- 대구: 남구, 서구, 군위군
- 인천: 강화군, 옹진군
- 강원도: 고성군, 삼척시, 양구군 등 12곳
- 충청도: 괴산군, 단양군, 영동군 등 15곳
- 전라도: 고창군, 김제시, 남원시 등 26곳
- 경상도: 고령군, 봉화군, 성주군 등 26곳
인구감소지역 지정 지표
인구감소지역을 선정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연평균 인구 증감률
– 인구밀도
– 청년 순이동률
– 고령화 비율
– 조출생률
– 재정자립도 등 8가지 지표
이러한 지표를 바탕으로 지역의 인구 감소 상황을 면밀히 분석합니다.
인구감소지역 관심지역
인구감소지역 외에도 관심지역이 있으며, 이 지역들은 향후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관심지역은 18곳으로, 대전 동구, 부산 중구, 강원 강릉시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인구감소지역 주민도 민생지원금을 받을 수 있나요?
네, 인구감소지역 주민들은 추가로 2만 원의 민생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인구감소지역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행정안전부의 공식 웹사이트나 해당 지역의 지방자치단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구감소지역의 지정 주기는 어떻게 되나요?
인구감소지역은 5년 단위로 재지정됩니다. 현재 지정된 지역은 2021년 10월에 처음 설정되었습니다.
민생지원금 신청은 언제부터 하나요?
2025년 7월부터 민생회복 지원금 신청이 시작될 예정입니다.
인구감소지역 지정은 언제 이루어지나요?
인구감소지역 지정은 5년 단위로 이루어지며, 다음 정기 지정은 2026년에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전 글: 원격의료 관련주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