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고용직으로 일하고 계신 분들 중 실업급여 및 출산전후 급여를 신청하고 싶은 분이 많으실 텐데요. 실업급여는 실직 후 생활안정과 구직활동을 도와주는 제도로, 출산전후 급여는 임신과 출산으로 일자리를 잃은 경우 지원을 받아서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이 두 제도를 신청하려면 꼭 알아둬야 할 조건과 지급기간이 있답니다. 아래를 읽어보시면 보다 확실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거예요.
1. 특수고용직 실업급여의 조건과 지급
1-1. 실업급여 신청 조건
특수고용직 실업급여는 먼저 피보험 단위 기간이 24개월 중 최소 12개월 이상이어야 해요. 특히, 이직 전 24개월 중 3개월 이상 종사한 경력이 필요하답니다. 또, 이직사유에도 주의해야 합니다. 중대한 귀책사유에 해당하지 않아야 하니까요.
1-2. 대기기간 및 지급내용
구직급여를 받기 위한 대기기간은 원칙적으로 7일이지만 특별한 경우에는 2주에서 4주로 조정될 수 있어요. 지급액은 기초 일액의 60%로 한정되며, 하루 상한액은 임금근로자와 동일하게 66,000원이랍니다.
1-3. 지급기간
피보험 기간과 연령에 따라 실업급여 지급 기간은 다르답니다. 예를 들어, 1년 미만의 피보험 기간을 가진 경우 120일 동안 지급되는 반면, 10년 이상의 경우는 최대 240일까지 지급이 될 수 있어요.
구분 | 피보험 기간 |
---|---|
1년 미만 | 120일 |
1~3년 미만 | 150일 |
3~5년 미만 | 180일 |
5~10년 미만 | 210일 |
10년 이상 | 240일 |
2. 출산전후 급여 신청조건
2-1. 신청 조건 및 지급내용
출산전후 급여를 신청하려면 출산일 전 피보험 단위기간이 3개월 이상 필요해요. 또 출산 후 12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하니까 잊지 말고 챙겨주세요. 지급 내용은 출산일 직전 1년간 월평균 보수의 100%를 지급하며, 상한액은 200만 원이랍니다.
2-2. 지급 기간
출산 전후로 소득활동을 하지 않은 기간이 90일 이내일 경우 지급되며, 다태아 출산 시 120일로 증가해요. 이 부분은 특히 중요한 점이에요.
3. 절차 및 문의처
3-1. 어떻게 신청하나요?
특수고용직의 실업급여와 출산전후 급여를 신청하려면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또는 근로복지공단으로 문의해 주세요. 아래 정보를 참고하면 더 도움이 될 거예요.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1350
- 근로복지공단센터: 1577-1000
3-2. 특수고용직 전담센터
센터 | 주소 | 연락처 |
---|---|---|
서울특고센터 |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2길 25 11층 | 02-6946-0500 |
경인특고센터 | 인천시 부평구 길주로 635 501호 | 032-712-0500 |
부산특고센터 | 부산 동구 중앙대로 276 10층 | 051-790-0300 |
대전특고센터 | 대전광역시 서구 문예로 137 7층 | 042-718-0600 |
자주 묻는 질문 (FAQ)
1. 특수고용직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특수고용직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실업급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2. 출산전후 급여의 신청 기간은 언제인가요?
출산일 전후 12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하며, 출산일 전 피보험 단위기간이 3개월 이상이어야 합니다.
3. 지급액은 얼마인가요?
출산전후 급여는 출산일 직전 1년간 월평균 보수의 100%를 지급하며, 상한액은 200만 원입니다.
4. 실업급여 지급 기간은 얼마나 되나요?
피보험 기간 및 연령에 따라 달라지며, 최소 120일에서 최대 270일까지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특수고용직으로 일하는 여러분도 이제 실업급여와 출산전후 급여를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어요. 알려드린 조건과 지급기간을 잘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상담센터에 문의해 보세요. 여러분의 권리를 지키는 것이 중요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