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협약식 및 간담회 개최



청년도약계좌 협약식 및 간담회 개최

2023년 6월 12일, 청년도약계좌의 출시와 운영을 위한 협약식이 개최되었습니다. 이 자리에서는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할 12개 은행과 서민금융진흥원이 협약을 체결하고, 금융위원회 2030 자문단의 의견을 청취하여 청년 자산 형성 관련 정책을 논의했습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협약식 및 간담회 개요

일시 및 장소

  • 일시: 2023년 6월 12일(월) 10:30~11:20
  • 장소: 은행회관 뱅커스클럽

참석자

이번 행사에는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 의장,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하였으며, 12개 은행의 은행장들이 함께했습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청년도약계좌의 주요 내용

청년도약계좌의 목적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설계된 제도입니다. 이 계좌는 정부의 지원을 통해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가입 요건 및 지원 내용

  • 가입대상: 만 19세에서 34세의 청년으로,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기여금 지원: 정부의 예산을 통해 기여금이 지원되며, 이자 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도 주어집니다.

[표: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별 기여금 지급구조]

개인소득 기준 본인 납입한도(월) 기여금 지급한도(월)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금 한도(월)
2,400만원 이하 70만원 40만원 6.0% 2.4만원
3,600만원 이하 50만원 4.6% 2.3만원
4,800만원 이하 60만원 3.7% 2.2만원
6,000만원 이하 70만원 3.0% 2.1만원
7,500만원 이하

청년도약계좌의 운영 방식

운영 개시일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6월 15일부터 운영을 시작하며, 11개 은행에서 비대면으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가입 방법

은행의 앱을 통해 영업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 30분까지 가입 신청이 가능하며, 출생연도를 기준으로 5부제를 적용하여 가입이 이루어집니다.

자주 묻는 질문

청년도약계좌 가입 요건은 무엇인가요?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에서 34세의 청년으로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요건을 충족해야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가입 후 소득이 변화하면 어떻게 되나요?

가입 이후 개인 소득이 증가하더라도 가입 자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만기까지 납입이 가능합니다.

정부 기여금은 어떻게 지급되나요?

가입자가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이 매칭 지원되며, 기여금에 발생한 이자소득은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

가입 신청은 언제까지 할 수 있나요?

2023년 6월에는 15일부터 23일까지 가입 신청이 가능하며, 이후 매월 2주간 가입 신청 기간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에게 자산 형성의 기회를 제공하고, 정부의 지원으로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을 도울 수 있는 중요한 정책입니다.

이전 글: 쿠쿠밥솥 서비스센터 접수 방법 안내